일본어 영어 중국어
명옥헌칼럼
음식과 한약의 기운과 맛에 대해 (여섯 가지 맛의 작용)

음식과 한약에는 각각의 성질에 따른 기운과 맛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계절의 속성에 빗대어 보자면, 봄날과 같은 따뜻한 기운을 지닌 음식과 약물이 있고,
여름과 같이 뜨거운 기운을 지닌 것도 있으며, 가을의 신선하고 서늘한 기운, 겨울의 차고 응축된 기운도 있습니다.

예로부터 삼복 더위에는 더위를 막고 보신을 하기 위해 이열치열로 열을 다스려 건강을 지켰습니다.
더운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음식 섭취가 많아 질 수 밖에 없는데 , 찬 음식은 배앓이나 설사를 유발합니다.
여름철 성질이 따듯한 음식을 섭취해 몸 안의 찬 기운을 몰아내고 몸을 보하고자 했던 선조들의 생활 방식에는
음식이 곧 약이 된다는 약식동운의 사상이 깃들여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약식동원(藥食同源)-약도 먹는 것도 그 근원의 하나 )
대표적인 여름철 보양 음식으로는 삼계탕이 있습니다.


닭고기는 소고기나 돼지고기에 비해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평소 추위를 잘 타고 속이 냉한 분들은 닭고기를 먹으면 좋습니다.
대신 속이 뜨겁고 활동적인 소양인의 체질에는 닭고기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맥주도 많이 찾게 되는데 맥주는 차가운 성질을 지녀 체질에 따라서는 맥주를 마시면 설사가 심해지는 분도 있습니다.
속이 차신 분들은 포도주나 양주가 몸에 더 맞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음식이 지닌 각각의 기운은 인체의 기운과 조화를 이루어 인체 대사를 조절하고 건강 유지를 돕는 약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한약은 어떨까요? 한약이 몸에 작용해 치료효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한약의 맛이 깊은 관여를 합니다.


사람에게 약을 쓰면 그 약이 작용하는 장부와 경맥이 있어 선택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귀경이라는 약성 이론이 있습니다.

단맛을 가진 한약은 인체의 정기가 부족해서 생기는 기력결핍과 신체허약으로 치유능력이 떨어지는 병증을 치료합니다.
단맛을 내는 감초는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는데 해독작용,두드러기,피부염,습진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매운맛의 한약기혈순환을 촉진해 담으로 생기는 피부발진과 잡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가 많아 기운이 퍼지지 못하고 한 곳에 몰려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매운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풀리는 것도 매운 성질이 우리 몸에 작용하는 영향 때문입니다.
천궁은 맵고 성질이 따뜻해 기운의 울체로 인한 생리통, 종기, 여드름탈모 미백에 사용됩니다.
쓴맛의 한약열을 내리고 피부와 몸속 독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피부발진이나 여드름 치료에 사용됩니다.
씁쓸한 맛의 고삼차는 열독제거와 피부병, 종기,코끝이 빨갛게 되는 병증에 많이 쓰이는 약재입니다.
신맛을 내는 한약인체의 진액이 과도하게 새나가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여름에 땀이 많이 날 때 신맛이 나는 오미자차를 마시면 탈수 증상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담담한 맛의 한약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생기는 몸의 부종과 붓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복령,택사라는 약재가 담담한 맛을 내는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부종을 치료할 때 사용합니다.
짠맛을 가진 한약뭉친 곳을 풀어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금, 간장의 짠맛 섭취도 몸 상태에 따라서는 필요합니다.

사람은 몸 상태에 따라서 유독 당기는 맛이 있습니다.
임신초 갑자기 신 음식이 먹고 싶다거나, 피로하면 단 음식이 생각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매운 음식이 당깁니다.
특정 시기에 몸이 원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몸에 활력을 불어 넣고 원기 회복을 돕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식습관으로 몸이 필요로 하지 않지만 습관적으로 당기는 맛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내 몸이 정말 필요로 하는 맛을 잘 구별해 섭취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